-
114
- 마이크로 기전장치의 충격 흡수를 위한 알루미나 강화-탄소 나노튜브 다발 개발 (2023.04.15)
- 마이크로 기전장치의 충격 흡수를 위한 알루미나 강화-탄소 나노튜브 다발 개발 김종백 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세라믹 강화 탄소나노튜브 기반 충격 흡수장치 연구가 2023년 04월 세계적인 마이크로 나노 기전 시스템 (MEMS) 분야 저널인 'Microsystems & Nanoengineering' (Impact Factor: 8.006, 상위 6.25%)에 게재 승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 정렬된 나노튜브 다발을 MEMS에 통합하여 충격에 취약한 미세구조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였다. 조은환 연구 교수 (가운데)와 이호준 석사 연구원 (오른쪽)이 공동 1저자로 해당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해당 결과는 초소형 소자의 충격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중견연구 지원사업(연구책임자: 김종백)'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 기계공학부 2023.05.25
-
113
- 혈관의 강도 측정을 위한 압전 마이크로피라미드 풍선 카테터 센서 개발 (2023.04.03)
- 혈관의 강도 측정을 위한 압전 마이크로피라미드 풍선 카테터 센서 개발 기계공학과 류원형 교수 연구팀(공동 1저자 강요섭 석사, 이지용 박사)은 유연성 압전 나노 복합 재료를 사용한 마이크로피라미드 구조를 제작하고, 이를 심혈관질환 치료용 풍선 카테터와 결합하여 혈관 조직의 기계적 강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압전 풍선 카테터 센서를 개발하였다. 연구팀은 해당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혈관 병변 부위의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여 심혈관 질환의 진행 상태를 진단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고, 해당 연구 결과는 2023년 4월 국제 저명 학술지인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Impact Factor: 10.383)에 게재되었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pubs.acs.org/doi/full/10.1021/acsami.3c00700
- 기계공학부 2023.05.25
-
112
- 2023 자율주행 로봇레이스 대회에서 최우수상 수상 (2023.04.01)
- 2023 자율주행 로봇레이스 대회에서 최우수상 수상 기계공학과 최종은 교수 지도 하에 연세대학교 Mech in AI 팀이 충북대 오창캠퍼스 C-트랙에서 개최된 2023 자율주행 로봇 레이스 1차 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음. 해당 대회는 차선 변경, 추월, 차량 간 접촉 회피 등의 다양한 자율 주행 전략을 이용하여 경주를 펼치는 국내 유일의 자율주행차량 동시 출발 레이싱 대회임. 본 연구팀은 멀티모달 센서퓨전, 장애물 회피 알고리즘 및 상태 예측 기반 제어 시스템 등의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차량에 탑재하여 레이싱을 완주함.
- 기계공학부 2023.05.25
-
111
- 인간의 호기가스 바이오마커의 감지와 혼합 상태의 인공지능 판별 개발 (2023.03.20)
- 인간의 호기가스 바이오마커의 감지와 혼합 상태의 인공지능 판별 개발 기계공학과 전성찬 교수 연구팀과 최종은 교수 연구팀이 협업하여 '인간의 호기 가스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질병 바이오마커 가스의 혼합 상태 센싱 및 인공지능 판별'의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공동연구팀은 혼합 가스를 직접 흡착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는 ssDNA 결합 그래핀 기반 센서 어레이를 개발하고, 혼합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 두 가지를 개발하여 판별 성능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논문화되어 국제 우수 저널인 'Microsystems&Nanoengineering'(Impact Factor: 8.006) 에 게재되었다. 관련 논문 링크: doi.org/10.1038/s41378-023-00499-y
- 기계공학부 2023.05.19
-
110
- 회전 글라이딩 아크 플라즈마를 통한 메탄의 건식 개질: 생성가스 급냉을 통한 에너지 효율 향상 연구 (2023.02.28)
- 회전 글라이딩 아크 플라즈마를 통한 메탄의 건식 개질: 생성가스 급냉을 통한 에너지 효율 향상 연구 기계공학과 송순호 교수 연구팀이 '회전 글라이딩 아크 플라즈마를 이용한 메탄 건실 개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ENGINEERING, CHEMICAL' 분야에서 Q1에 속하는 'Journal of CO2 Utilization'에 게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이산화탄소를 저감 및 활용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에너지 효율 및 가격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관련 논문 링크: doi.org/10.1016/j.jcou.2023.102448
- 기계공학부 2023.03.13
-
109
- 2가지 종류의 동력모듈을 이용한 비행체 동력시스템 발명 (2023.02.23)
- 2가지 종류의 동력모듈을 이용한 비행체 동력시스템 발명 기계공학과 송순호 교수 연구팀이 2가지 종류의 동력모듈을 이용한 비행체 동력시스템을 발명을 진행하였다. 발명의 메인 동력 모듈은 내연 기관으로, 추가 동력 어셈블리는 저온 액화물질 상태인 보조 작동유체가 저장된 형태로 구성된다. 동력원에 문제가 발생되거나, 단일 동력원의 최대 출력보다 더 높은 출력이 요구되는 경우 2가지 종류의 동력모듈로써 해결할 수 있다.
- 기계공학부 2023.03.13
-
108
- 인장과 셀간의 간섭 효과를 제거하고 신축가능한 촉각 센서 어레이 (2023.02.20)
- 인장과 셀간의 간섭 효과를 제거하고 신축가능한 촉각 센서 어레이 기계공학과 김종백 교수 연구팀의 배규빈 석박사통합과정생이 제 29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 Mechanical Engineering분과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휴먼테크 논문대상은 삼성전자가 주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중앙일보가 후원하는 대회로 1994년부터 제정된 젊고 우수한 과학자를 발굴하기위한 논문상이다. 연구팀은 “인장과 인접 셀간의 간섭을 제거한 촉각 센서”의 원천 기술을 제시했다. 또한, 제작한 센서는 높은 민감도와 넓은 감지범위와 같은 주요 성능이 기존 연구대비 우수함을 실험적으로 증명해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개발한 센서는 사람의 관절과 같은 큰 변형이 유발되는 환경에서 압력 정보만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음을 보여 차세대 산업인 건강 모니터링 분야에 활용 가능함을 제시했다. 관련 링크: https://humantech.samsung.com/saitext/intro.do
- 기계공학부 2023.03.13
-
107
- 대학원혁신지원사업인 어깨동무사업을 통한 경남권 빌딩풍 환경 유동 인자를 고려한 인공지능 기반 Building Profile 개발 연구 (2023.02.20)
- 대학원혁신지원사업인 어깨동무사업을 통한 경남권 빌딩풍 환경 유동 인자를 고려한 인공지능 기반 Building Profile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이준상 교수 실험실에서는 '경남권 빌딩풍 환경 유동 인자를 고려한 인공지능 기반 Building Profile 개발 연구' 라는 주제로 대학원혁신지원사업인 ‘어깨동무사업’ 을 통해 지역 전문가와 함께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연구의 핵심 목표는 경남권역 빌딩풍 시나리오에 대응이 가능한 예측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누구나 쉽게 사용 할 수 있는 빌딩풍 관련 실시간 사전 예측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사전에 재난 위험을 방지하고 특히 시설물 중심의 재난 안전 연구에서 사람 중심의 재난 안심 연구로 패러다임 변화를 제시한다. 이번 어깨동무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현안을 해결하고 학제간 장벽을 넘어서는 초월적 인재 양성과 융합형 기술 개발을 진행해 장기적 기후변화에 대응 가능한 기술과 인재 양성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 기사 링크: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00746
- 기계공학부 2023.03.13
-
106
- 연세대 항공우주전략연구원 창립 10주년 기념 2023 미래 국방기술 전략 포럼 주최 (2023.01.31)
- 연세대 항공우주전략연구원 창립 10주년 기념 2023 미래 국방기술 전략 포럼 주최 연세대학교 항공우주전략연구원(ASTI) 창립 10주년을 항공우주전략원장인 기계공학과 조형희 교수가 "2023 미래 국방기술 전략 포럼"을 공군과 공동으로 주최하였다. 조형희 교수는 엔진·공중발사기술 개발의 필요성과 항공-우주 연구 시너지 창출을 위한 통합 접근 등 한국의 미래 우주강국 도약을 위한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관련 기사 링크: https://www.sedaily.com/NewsView/29LLG7CAVY
- 기계공학부 2023.03.13
-
105
-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비행체 발명 (2023.01.31)
-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비행체 발명 기계공학과 송순호 교수 연구팀이 미래형 모빌리티 사업과 관련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비행체에 대한 발명을 진행하였다. 발명의 주 내용은 내부에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가 채워지는 비행 보조 어샘블리가 탑승 공간을 둘러싸도록 가변되는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 고도 센서 등으로 구성된 제어 모듈이 비행체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보조 어샘블리가 탑승부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 기계공학부 2023.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