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4
- 물리 기반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마이크로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 최적화 연구 (2023.07.05)
- 물리 기반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마이크로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 최적화 연구 연세대학교 이준상 교수 연구실의 잉크젯 프린팅 최적화 연구팀은 지배 방정식 없이 인공지능 학습에 물리를 반영시킬 수 있는 물리기반 인공지능 모델(physics-added neural networks, PANNs)을 제안하였다. 연구팀은 해당 모델을 통하여 기존 딥러닝 대비 학습 시간을 단축하고 정확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켰다. 또한, PANNs를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에 적용하여 열 효과를 고려한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해당 연구 결과는 2023년 7월 Manufacturing분야 상위 1% 내 Additive Manufacturing 저널지에 게재되었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authors.elsevier.com/a/1hJls7tcTWlNh0, DOI: doi.org/10.1016/j.addma.2023.103668
- 기계공학부 2023.07.19
-
123
- 하이 니켈 양극재 기반 리튬 이온 배터리의 열 폭주 메커니즘 규명을 통한 전기차 안전성 향상 (2023.06.27)
- 하이 니켈 양극재 기반 리튬 이온 배터리의 열 폭주 메커니즘 규명을 통한 전기차 안전성 향상 기계공학과 홍종섭 교수 연구팀은 급속한 차량 전동화 전환 및 전기차 보급 과정에서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을 위해 주목받고 있는 하이니켈 양극재 기반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2023년 7월 열공학 및 반응공학 분야 최우수 학술지인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Impact Factor: 15.1, 상위 3.2%, Volume 471)에 게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소재 간 조합 실험을 통해 각 전극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개별적으로 고려하여 하이니켈 양극재 기반 리튬 이온 배터리의 열폭주 메커니즘을 규명하였고, 메커니즘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신뢰성 높은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전기차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16/j.cej.2023.144434
- 기계공학부 2023.07.19
-
122
- 단일 각도 혈관 조영 이미지로부터 3차원 구조 재구성 기술 개발 (2023.06.17)
- 단일 각도 혈관 조영 이미지로부터 3차원 구조 재구성 기술 개발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이준상 교수 연구실의 심혈관 연구팀은 2023 순환기의공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Unlocking New Perspectives Angiography Synthesis from Single - view with Angle Conditions'라는 주제로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질환 진단을 위해 활용되는 coronary angiography single-view 이미지로부터 novel-view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형 인공지능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angiography 의료영상 촬영 횟수를 줄일 수 있고, 환자에 노출되는 방사선량을 감소시켜 의료 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 링크: https://mfdl.yonsei.ac.kr/home
- 기계공학부 2023.07.19
-
121
- 조형희 교수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무인기용 고효율 터빈기술 개발 특별심포지엄 개최 (2023.06.15~16)
- 조형희 교수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무인기용 고효율 터빈기술 개발 특별심포지엄 개최 기계공학과 조형희 교수가 공동조직위원장으로 2023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종합학술대회를 개최하였고, 제주도 국제컨벤션 센터에서 진행된 학술대회에 2000여명이 참석하였다. 조형희 교수는 '무인기용 고효율 터빈기술 개발' 특별심포지엄을 개최하여 터빈 냉각 기술 및 장수명화 기술 등에 대한 발표와 '미래 유무인기용 고효율 터빈기술 확보를 위한 산학연정 협력 방안' 패널 토론을 주관하였다.
- 기계공학부 2023.07.19
-
120
- 3차원 뉴런 신호 매핑이 가능한 낮은 임피던스를 갖는 뉴럴프로브 전극 개발 (2023.06.09)
- 3차원 뉴런 신호 매핑이 가능한 낮은 임피던스를 갖는 뉴럴프로브 전극 개발 기계공학과 김종백 교수 연구팀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이 공동 진행한 “미세한 뇌 신경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탐침형 전극 연구”가 세계적인 계측 및 계측장비 분야 저널인 ‘Sensors and Actuators B: Chemical (Impact Factor: 8.4, 상위 1.58%)’에 게재되었다. 치매, 파킨슨병 등의 뇌 신경 질환을 극복하기 위해서 복잡한 뇌 신경 활동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진이 개발한 탐침형 전극은 매우 낮은 임피던스를 가져 기존 전극으로는 어려웠던 미세한 신경 신호까지 측정이 가능했으며, 이를 통해 3차원 신경 분포 정보까지 얻을 수 있었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16/j.snb.2023.134124
- 기계공학부 2023.07.19
-
119
-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선도연구센터 주관기관으로 선정 (2023.05.31)
-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선도연구센터 주관기관으로 선정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2023년도 선도연구센터 공학분야(ERC)의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되었다. 연구센터장인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김종백 교수를 포함해 11명의 연구자로 구성된 "다상소재 혁신 생산공정 연구센터"는 우수한 특성을 갖는 다상소재를 기반으로한 정밀 제어 생산공정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고도화 응용소자 생산의 혁신을 선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센터는 7년간 총 135억원의 정부 지원을 받게 되며, 현대자동차와 삼성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10개의 산업체로부터 총 10억 9100만원의 연구비 지원 확약을 받았다. 관련 기사 링크: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113&mPid=238&pageIndex=10&bbsSeqNo=94&nttSeqNo=3183180&searchOpt=ALL&searchTxt=
- 기계공학부 2023.07.19
-
118
- 비간섭 산술현미경 기반 삼차원 복굴절 토모그래피 영상 기술 개발 (2023.05.18)
- 비간섭 산술현미경 기반 삼차원 복굴절 토모그래피 영상 기술 개발 기계공학과 주철민 교수 연구팀은 비간섭계 기반 측정 영상과 다중산란 모델을 이용하여, 광학적 이방성 물질의 삼차원 복굴절 토모그래피 영상을 복원할 수 있는 산술현미경 기술(computational microscopy)을 개발하였다. 현존하는 삼차원 복굴절 토모그래피 기술은 대부분 간섭계 기반의 단일산란 모델을 적용한 기술로, 다중산란이 발생하는 복잡한 구조의 복굴절 시료의 삼차원 고해상도 영상 복원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연구진은 삼차원 다중산란 복굴절 시료 내에서의 빛의 전파를 해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편광 다중산란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비간섭계 산술현미경 기술과 접목하여 다중산란 복굴절 물질의 삼차원 영상 복원을 가능케 했다. 이 연구 결과는 2023년 5월 18일 광학 분야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Light: Science & Applications (IF 20.257)’에 게재되었다. 관련 논문 링크: doi.org/10.1038/s41377-023-01151-0
- 기계공학부 2023.07.19
-
117
- 조형희 교수 YTN 사이언스 K-사이언티스트 인터뷰 (2023.05.15)
- 조형희 교수 YTN 사이언스 K-사이언티스트 인터뷰 기계공학과 조형희 교수가 국내 가스터빈 기술 연구자로서 대한민국 공학, 과학계의 대표 연구자를 소개하는 프로그램인 YTN 사이언스 채널 K-사이언티스트에 출연하여 연구를 소개하였다. 조형희 교수는 가스터빈 고온 부품 냉각 설계를 통해 가스터빈 독자 모델 개발에 참여하여 대형 가스터빈 국산화 성공에 기여했으며, 국방 및 항공 분야 연구를 통해 세계 최초로 적외선·레이더·시각 동시 회피 복합 스텔스 기술을 개발하는 등 핵심 국가 기술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관련 링크: https://m.science.ytn.co.kr/program/view.php?s_mcd=1394&key=202305151548188689
- 기계공학부 2023.07.19
-
116
- 2023년도 대한용접접합학회 춘계학술대회 '구두발표 우수논문상' 수상 (2023.05.11~12)
- 2023년도 대한용접접합학회 춘계학술대회 '구두발표 우수논문상' 수상 기계공학과 장용훈 교수 연구팀의 조형근 박사과정은 2023년도 대한용접접합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구두발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조형근 박사과정은 마찰교반용접 툴에서 발생하는 마모거동을 수치해석적으로 예측하고, 누적 마모량을 계산함으로써 툴의 수명 평가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의 실험적인 마찰교반용접 툴 수명 평가 방식의 한계인 툴 제작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강조하면서 유한요소해석 기법이 마찰교반용접 툴의 수명을 예측하는데 있어 매우 경제적임을 보여주었다.
- 기계공학부 2023.07.19
-
115
- 조형희 교수, 과학기술훈장 웅비장 수훈 (2023.04.21)
- 조형희 교수, 과학기술훈장 웅비장 수훈 2023년 4월 21일 개최된 ‘2023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연세대학교 조형희 교수(기계공학부)가 기계공학 연구 및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한 과학기술진흥 유공을 인정받아 과학기술훈장 웅비장을 수훈했다. 조형희 교수는 국방·항공·에너지 분야의 탁월한 연구자로 가스터빈 핵심 구성 부품(블레이드, 연소기 등) 열설계기술의 국산화에 성공하고, 무인기용 고효율 터빈기술 특화연구센터 등 국책과제를 총괄하여 국산 가스터빈 핵심기술 개발 및 차세대 첨단엔진 개발을 위한 연구 기획 및 정책을 제안하였다. 국방 피탐지 감소기술 특화연구센터를 총괄하여 세계 최초로 적외선·레이더·시각 동시 회피 복합 스텔스 기술을 개발하여 세계적 기술 우위를 선점하였고, 항공우주전략연구원 원장으로 재임하며 차세대 국방기술 개발 및 정책제안 등을 통해 우리나라의 국방기술 진흥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조형희 교수는 대한기계학회장, 한국유체기계학회장 등을 역임하며 산학 협력 및 기술교류 활성화를 추진하였으며, 산업체 인력 재교육을 통해 전문인력의 역량을 강화하고, 공학교육혁신을 통해 미래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하는 등 차세대 성장 동력을 위한 전문 인력 양성에도 힘써온 바 있다.
- 기계공학부 2023.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