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4
- 딥러닝을 활용한 고속 3차원 복원기술 개발
- 딥러닝을 활용한 고속 3차원 복원기술 개발 기계공학부 현재상 교수팀(1저자 김원회 통합과정)은 퍼듀 대학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고속 3차원 형상복원을 위한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으며, 컴퓨터 비전분야에서 우수 저널인 'Image and Vision Computing'에 연구 성과를 게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장의 이미지를 결합하여 복원할 수 있는 기존 구조광 방식과 달리 딥러닝을 활용하여 단 2장의 이미지만을 활용하여 3차원 복원을 가능하게 하여 속도를 극대화 하였다. 또한, 가상환경을 통해 프레임워크 개발에 필요한 학습 데이터를 생성 및 검증하였으며 오차를 최소화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3차원 복원을 가능하게 하였다. 관련 논문 링크: doi.org/10.1016/j.imavis.2024.105204
- 기계공학부 2024.10.08
-
183
- 공기중 바이러스의 다지점 모니터링을 위한 미세유체 기반 응축성장식 바이오에어로졸 샘플러 개발 (2024.08.08)
- 공기중 바이러스의 다지점 모니터링을 위한 미세유체 기반 응축성장식 바이오에어로졸 샘플러 개발 기계공학과 김용준 교수 연구팀(1저자 유성재 박사, 교신저자 김용준 교수)은 미세유체 기반 응축성장식 바이오에어로졸 샘플러(MCBS)를 개발 및 제작하였다. 미세유체 기반 응축성장식 바이오에어로졸 샘플러(MCBS)는 응축 핵 성장 기술과 전기 습윤 기술을 결합하여 바이러스를 성장, 포집, 운송하는 장치이다. 연구팀은 해당 장치를 이용하여 공기 중 바이러스를 수십 마이크로리터의 소량의 액체 샘플로 농축시키며, 상용 샘플러 대비 최대 89.9배 높은 농도로 수집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해당 연구 결과는 2024년 4월 국제 저명 학술지인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Impact Factor: 10.7)에 게재되었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16/j.bios.2024.116658
- 기계공학부 2024.10.08
-
182
- 우수한 열충격 저항성을 위한 고체 산화물 전기화학 셀 설계 및 개발(2024.07.24)
- 우수한 열충격 저항성을 위한 고체 산화물 전기화학 셀 설계 및 개발 연세대 홍종섭 교수, GIST 주종훈 교수, 한국세라믹기술원 신태호 박사와 함께 협업하여 3초 안에 900℃ 이상의 온도에서 작동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드론과 같은 모바일 장치의 보조 동력원 등 급속 구동이 필요한 발전장치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라믹 재료로 구성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낮은 열전도도와 높은 탄성계수로 인해 열 충격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열응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전해질 소재 및 두께 특성을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설계해 높은 열 충격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한 연료전지를 제작했다. 개발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3초 안에 900℃ 이상의 온도에 도달하는 승온 속도에도 균열 및 파단 없이 작동했으며 100번 이상의 열충격 사이클에서도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 나아가 1초 안에 1000℃에 도달하는 극한의 구동 환경에서도 작동이 가능한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원천연구개발사업, 미래수소혁신기술개발사업, 선도연구센터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에너지 분야 저명 국제학술지인 ACS Energy Letters(IF:18)에 2024년 7월 24일 온라인 게재됐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pubs.acs.org/doi/full/10.1021/acsenergylett.4c01523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0082&key=202408081610302635
- 기계공학부 2024.10.08
-
181
- 2024-1학기 창의제품설계 3조(장민준 외 4인), 2024년 정보통신기술 지능형기기(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 대상 수상
- 2024학년도 1학기 김대은 교수님 분반의 3조 학생들(장민준, 김원준, 박현진, 조믿음, 김현준) 이 창의제품설계 수업으로 통해 제작한 제품(제품평: 카트라슈)로 '제 11회 ICT 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에 참여하여 대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2024년 정보통신기술 지능형기기(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 결선 및 시상식 개최 - (인공지능 혈변 인식 연산방식<알고리즘>을 활용한 반려묘 건강관리용 정보통신기술 지능형 화장실, ㈜밸리언텍스), (자율주행 조립 공정 보조 수레<카트>, 카트라슈(CARTRASCHE)) 대상 수상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8월 27일 ‘2024년 정보통신기술(ICT) 지능형기기(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이하‘공모전’)’결선 대회와 시상식을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개최하였다. 본 공모전은 아직 상용화가 되지 않은 디지털 혁신제품과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한 대회로, ’14년 첫 개회 이후 올해 11회차를 맞으며 3,390개의 아이디어와 제품을 발굴하고 이 중 우수한 출품작 222개를 시상하였으며 수상작들의 그간 누적 투자유치 성과는 약 748억원에 달한다. 특히 작년, 기업 부문 대상을 수상한 ㈜로보톰은 출품작‘지능형 조립식로봇공학(스마트 모듈러 로보틱스) 주거 체계’에 대해 특허를 출원하고 6억원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으며, 예비창업자 부문 대상 수상팀인 애니웨어는 수상후 10월에‘비전스페이스’를 설립하고 출품작‘인공지능 모의실험기(AI 시뮬레이터)’,‘3차원 편집기(에디터)’를 국내 주요 제조 현장 납품 중에 있다. 이번 대회에서는 5월 14일(화)부터 6월 10일(월)까지 총 190건(기업 73건, 일반 117건)의 아이디어가 접수되었고, 예선심사(6월)와 본선심사(7월)를 통해 수상 대상 14개 단체를 선정하였으며, 이 중 우수한 성적을 받은 ㈜밸리언텍스, ㈜체인익스빌, ㈜파나믹스, 카트라슈(CRTRASCHE), 에스알에이치디(SRHD), 데이터레이크 등 총 6개 단체가 결선에 진출하였다. 결선 심사는 6개 단체가 70여분에 걸쳐 출품작에 대한 기술 혁신성, 사업성 등을 발표하고 이를 모험자본(벤처캐피탈), 창업기획자, 기술 과제 관리자(PM) 등 전문 심사위원이 현장에서 심사하는 공개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결선 결과 기업분야, 일반분야 각각 △‘인공지능 혈변 인식 연산방식을 활용한 반려묘 건강관리용 정보통신기술 지능형 화장실’(주)밸리언텍스(김태현)와 △‘자율주행 조립 공정 보조 수레(카트)’CARTRASCHE(장민준)이 대상을 차지하여 과기정통부 장관상을 수상하였으며, 최우수상에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AIoT) 기반 의약품 저온유통 해결책(콜드체인 솔루션)’(주)체인익스빌(박장석), △‘인공지능과 로봇 기반 실시간 비파괴 수변시설 진단 점검 체계’(주)파나믹스(김효섭), △‘소리 감지와 레이더를 이용한 신체 위험 상황 식별 기술’, SRHD(박상현), △‘승강기 고장 진단용 데이터 수집 사물인터넷 기기 및 해결책(디바이스 및 솔루션)’, 데이터레이크(박진아) 등 4개 단체가 선정되었다. * 대상(과기정통부 장관상) 2개 단체, 최우수상(정보통신기획평가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원장상) 4개 단체, 우수상 8개 단체 대상을 수상한 ㈜밸리언텍스와 카트라슈(CARTRASCHE)에게는 각각 일천만원과 오백만원의 상금이 수여되며, 대상 수상기업은 각종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단체가 모여 경쟁하는 민ㆍ관 합동 통합 경진대회 ‘제3회 한국형 디지털 대규모 대회(K-디지털그랜드 챔피언십)’(12월 개최예정)에 진출할 수 있게 된다. 최우수상 수상 4개 단체에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장상,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장상과 상금(기업 300만원, 일반 200만원)을 시상하였고, 이어 우수상을 수상한 8개 단체에 지역 기기연구실(디바이스랩) 기관장상과 상금(기업 150만원, 일반 100만원)을 수여하였다. 공모전 수상자에게는 디지털 공개연구소(오픈랩), 지역 기기연구소(디바이스랩)와 연계한 시제품 제작 및 인증획득 등 단계별 제품화를 통해 예비창업자·초기기업의 혁신적인 지능형 기기(스마트 디바이스)가 시장에 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실질적인 사업화와 해외진출을 위해 국제모바일기술박람회(MWC) 등 국내외 정보통신기술 관련 전시회 참가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본 공모전은 지난 10년간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디지털 분야 창업기업들이 거쳐간 대표적인 디지털 창업 등용문으로, 그간 급속한 기술변화 속에서 국내 기업과 예비 창업자들의 우수한 아이디어가 혁신 디지털 제품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왔다”며,“앞으로 다가올 내장형 인공지능 시대를 국내 창업기업들이 선도할 수 있는 정책 기반을 더욱 확충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기계공학부 2024.09.02
-
180
- 기계공학 & 전기전자공학과 공동주최 산술영상 및 현미경학 국제 워크샵 개최(2024.08.09)
- 기계공학 & 전기전자공학과 공동주최 산술영상 및 현미경학 국제 워크샵 개최 기계공학과 주철민 교수는 전기전자공학과 이승아 교수와 공동으로 2024년 8월 9일에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라제건홀에서 '산술 영상 및 현미경학 국제 워크샵'을 개최하였다. 해당 행사는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BK21교육연구단과 전기전자공학과 BK21교육연구단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국제 워크샵으로 산술영상 기술 및 현미경학의 최신 연구 동향을 공과대학 학부생 & 대학원생들과 공유하고 토론하기 위하여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산술 광학계에서 저명한 해외 연사들(난징대학교의 Chao Zuo 교수, 칭화대학교의 Jiamin Wu 교수, 동경대학교의 Takuro Ideguchi교수, Meta의 장창원 박사)을 초청하였으며, ▲Computational phase imaging for label-free 3D microscopy, ▲Mesoscale intravital fluorescence microscopy, ▲Mid-infrared photothermal quantitative phase microscopy for live-cell imaging, ▲Computational Optics for AR/VR, ▲Quasi-calibration Method for Structured Light 3D Imaging Systems with an Auxiliary Camera , ▲ Lensless computational cameras for smart imaging 의 6개의 주제에 대해 대략 60명의 참석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 기계공학부 2024.08.20
-
179
- 연세대-고려대-와세다대-게이오대 4 개 대학 기계공학과 대학원 워크삽 개최(2024.08.07)
- 연세대-고려대-와세다대-게이오대 4 개 대학 기계공학과 대학원 워크삽 개최 연세대, 고려대, 와세다대, 게이오대의 기계공학과가 참여한 대학원 워크샵이 2024년 8월 7일 고려대 안암캠퍼스에서 열렸다. 이 워크샵에는 4개 대학의 기계공학과 교수진 9명과 대학원생 약 30명이 참여하여 서로의 연구를 소개하고, 공동 연구 방안을 탐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워크샵은 각 대학 교수들의 연구 발표로 시작되었으며, 이어 대학원생들의 포스터 발표가 진행되었다. 주요 발표 내용으로는 ▲ A microfluidic chip-based approach for modeling sensory innervated epidermal layer ▲ Effect of Li-TFSI and SBS Block Copolymer Additives on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3HT Films ▲Triaxial force plate with prism imaging and sampling moiré method ▲Membrane Deployment using Hyper-elastic wires 등이 있었다.
- 기계공학부 2024.08.12
-
178
-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로 강화된 알루미늄 합금 2024의 마찰 교반 가공 조건 개선 연구 (2024.04.15)
-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로 강화된 알루미늄 합금 2024의 마찰 교반 가공 조건 개선 연구 MFDL 연구실의 무하마드 나시르 바시르 박사는 'SiC 입자로 강화된 알루미늄 합금 2024의 마찰 교반 공정 파라미터 최적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재료 연구 및 기술 저널 (IF 6.2, 상위 6.3% volume 30)에 게재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최적의 용접 회전 속도인 1000rpm이 미세 구조, 마모 속도 및 미세 경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반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마찰 교반 처리(FSP)를 구현한 후 교반 영역의 전진 측에서 전단 영역이 관찰되었다.
- 기계공학부 2024.08.02
-
177
- 신재생에너지 및 기후변화 대응기술 심포지움 개최(2024.07.01)
- 신재생에너지 및 기후변화 대응기술 심포지움 개최 기계공학과 김해진 교수는 단국대학교, 동국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공동으로 2024년 7월 1일에 연세대학교 제1공학관에서 신재생에너지 및 기후변화 대응기술 심포지움을 개최하였다. 해당 행사는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BK21 사업단이 주최하는 일련의 심포지움으로 신재생 에너지 및 기후변화 대응 기술과 관련된 진행 실험 결과를 공유하고,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토론하기 위하여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Photoelectrochemical energy devices using QD photosensitisers, ▲Flexible Perovskite/CIGS Tandem Solar Cells, ▲Interactive materials for engineering interfaces in optoelectronics,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perovskite solar cells with high thermal stability,▲ Multiscale perovskite/polymer nanocomposites synthesized via coordination chemistry for optoelectronics, ▲Soft Electronics and Beyond의 6개의 주제에 대해 대략 30명의 참석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 기계공학부 2024.07.18
-
176
- 이지용 박사, St.Thomas University Tenure-track Assistant Professor 임용
- 이지용 박사, St.Thomas University Tenure-track Assistant Professor 임용 기계공학과 류원형 교수 연구실에서 2020년 8월 박사 학위를 취득 후, 기계공학과 BK21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 후, 현재 University of Minnesota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인 이지용 박사가 2024년도 8월 부임 예정으로 미국 미네소타 주 University of St. Thomas,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에 Tenure-track Assistant Professor 로 임용되었다. 이지용 박사는 기계공학과 BK 사업단의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는 동안 Adv. Healthc. Mater., Adv. Mater. Technol., J. Control. Release, Small 등에 다수의 최상위급 SCI 논문들을 출판한 바 있다.
- 기계공학부 2024.07.18
-
175
- 보조 카메라를 활용한 3차원 구조광 시스템 캘리브레이션 알고리즘 개발 (2024.06.29)
- 보조 카메라를 활용한 3차원 구조광 시스템 캘리브레이션 알고리즘 개발 기계공학과 현재상 교수팀(1저자 손승재 통합과정)은 Meta Reality Labs와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보조 카메라를 활용한 3차원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광학분야에서 우수 저널인 'Optics and Laser Technology'에 연구 성과를 게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프로젝터 캘리브레이션을 보조 카메라를 활용하여 단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존 방법보다 높은 측정 정밀도로 3차원 형상 복원을 가능하게 하였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16/j.optlastec.2024.111369
- 기계공학부 2024.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