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4
- 기계 학습을 이용한 Rattle 소음원 발생 위치 추적 알고리즘 개발 (2021.09.25)
- 기계 학습을 이용한 Rattle 소음원 발생 위치 추적 알고리즘 개발 기계공학부 박노철 교수 연구팀은 차량 주행 시험 중 가속도계를 이용해 계측된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하부의 이음(Rattle) 소음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측정된 가속도 신호를 Rattle의 특성을 고려한 denoising 및 기계 학습을 통해 BSR 전문가 수준의 정확도로 Rattle에 의한 Impulse 신호 단위를 식별하고 소음원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에 따른 신호의 특성 변화를 이용해 소음원과 계측 지점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제안된 방법은 주행 테스트에서 측정된 가속도와 rattle 신호의 전달 특성만을 기반으로 하며 차종에 관계없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국제 학술지 Mechanical Systems and Signal Processing에(Impact factor : 6.823, 2020 JCR, 상위 1.52%)에 2021년 9월 25일 온라인에 게재되었다. 논문링크 주소: https://doi.org/10.1016/j.ymssp.2021.108447
- 기계공학부 2021.10.26
-
43
- 복합 나노소재 기반 고감도 수소센서 개발 (2021.09.20)
- 복합 나노소재 기반 고감도 수소센서 개발 기계공학과 김종백 교수 연구팀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구팀과 공동으로 고감도 수소 센서를 개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재료박막공정 분야 1위 저널인 'Applied Surface Science'에 게재되었다. 수소는 청정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나, 누출로 인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저농도의 누출도 감지할 수 있는 고감도 센서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센서는 2차원 나노소재인 이황화몰리브덴 위에 원자층 증착공정으로 균일하게 백금나노입자 촉매를 형성하여, 기 개발된 수소센서 대비 높은 민감도를 갖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관련 링크: https://doi.org/10.1016/j.apsusc.2021.151256
- 기계공학부 2021.10.26
-
42
- 분리 상태를 고려한 탄성마찰시스템의 임계 쐐기 계수 (2021.09.10)
- 분리 상태를 고려한 탄성마찰시스템의 임계 쐐기 계수 기계공학부 장용훈 교수는 2020년도 Tribology and Lubricants에 게재된 '분리 상태를 고려한 탄성마찰시스템의 임계 쐐기 계수'을 통해 2021년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31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이 연구는 분리 상태를 고려한 마찰접촉문제에 대해 임계 쐐기 마찰 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함으로써 기계시스템의 체결 및 조립성능향상에 크여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논문링크 : https://doi.org/10.9725/kts.2020.36.6.324
- 기계공학부 2021.10.26
-
41
- 기고문 '대전환 시기의 국방 우주력' 게재 (2021.08.23)
- 기고문 '대전환 시기의 국방 우주력' 게재 연세대학교 항공우주전략연구원(원장: 조형희)에서 지난 7월 15일 주최한 학회인 제23회 항공우주력 국제학술회의 '대전환시기의 국방우주력' 에서의 국내외 전문가 온라인 발표 및 토의 내용을 바탕으로 조형희 교수가 전자신문에 기고문 '대전환 시기의 국방 우주력'을 게재, 우주력 증강의 필요성과 국제적 경쟁 현황, 우리나라의 우주 경쟁력 확보 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기사 링크: https://etnews.com/20210823000152
- 기계공학부 2021.10.26
-
40
- 종양 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빠르고 선택적 분리를 위한 미세유체칩 기반 유방암 조기 진단 및 전이 위험 평가 (2021.07.09)
- 종양 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빠르고 선택적 분리를 위한 미세유체칩 기반 유방암 조기 진단 및 전이 위험 평가 기계공학부 정효일 교수 연구팀은 2종의 암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7분 이내 분리 농축할 수 있는 미세유체칩을 개발했다. 기존 혈액 내 바이오마커 기반 초기 유방암 검출의 진단민감도는 약 23-30%였으나,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칩 이용하였을 때 진단민감도를 90%로 높였다. 이 칩은 암 외에도 다양한 질병 분석을 위한 강력한 임상 도구로 확장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제학술지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Impact factor: 10.618, 2020 JCR, 상위 3.01%)에 2021년 7월 9일 온라인에 게재되었다. 논문 주소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56566321005327
- 기계공학부 2021.08.31
-
39
- 단포트 격자 공명을 기반으로 설계된 다색 선택적 흡수체를 통한 통합 적외선 신호 관리 (2021.07.05)
- 단포트 격자 공명을 기반으로 설계된 다색 선택적 흡수체를 통한 통합 적외선 신호 관리 기계공학과 한재원 교수 연구팀은 군사력 증강을 위해 탱크와 같은 군사 무기체계에 적용 가능한 적외선 스텔스 소자를 개발했다. 본 연구를 통해 열 추적 미사일 뿐만 아니라 레이저 유도 미사일 및 단파장 적외선 카메라에도 탐지되지 않는 소자를 통해 군사 장비의 피탐지성을 낮출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저명한 광학 저널 Advanced Optical Materials (IF:9.926)에 게재되었다. 해당 연구는 미래국방혁신기술 개발사업 과제의 핵심 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논문 주소 링크: https://doi.org/10.1002/adom.202002225
- 기계공학부 2021.08.31
-
38
- 신경 회로의 기능분석을 위한 인공신경망 (Neural circuits) 리뷰논문 게재 승인 (2021.06.15)
- 신경 회로의 기능분석을 위한 인공신경망 (Neural circuits) 리뷰논문 게재 승인 기계공학과 김종백 교수 연구팀은 KIST 연구진과 공동으로 신경 회로 기능 분석을 위한 인공신경망 (Neural circuits)제작 방법 및 용처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집대성한 리뷰 논문을 작성하였으며, 이는 바이오공학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인 Acta Biomaterilia에 게재 승인되었다. 인공신경망은 뇌신경 회로 연결성의 기능적 분석을 위해 체내를 모사한, 체외에서 신경망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다. 논의된 인공신경망 연구는 알츠하이머, 파키슨병 등 다양한 뇌 질환 연구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로서 큰 의의를 갖는다. 논문 주소 링크: https://doi.org/10.1016/j.actbio.2021.06.024
- 기계공학부 2021.08.31
-
37
- 딥러닝 기반 근전도 이미지 활용 의도 파악 2축 발목 외골격 로봇 개발 (2021. 06. 01)
- 딥러닝 기반 근전도 이미지 활용 의도 파악 2축 발목 외골격 로봇 개발 연세대학교 이수홍 교수님 연구진이 한국연구재단에서 시행하는 보호과제사업에 선정되었다. 헤당 과제는 '딥러닝 기반 근전도 이미지 활용 의도 파악 2축 발목 외골격 로봇 개발'이라는 주제로 사업기간 3년 동안 진행될 예정이다. 보행에서 안정성과 추진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발목에 관여하는 근육의 근전도 신호를 고해상도 이미지 방식으로 측정하여 기존보다 넢은 의도파악 추정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존에 제한적인 외골격 로봇 제어를 더욱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을것으로 보인다.
- 기계공학부 2021.08.31
-
36
- 양현석 교수 2021-1 RC 특강에서 "Creativity, AI, and Your Future" 강의 (2021. 05. 26)
- 기계공학부 양현석 교수는 5월 26일 연세대학교 2021-1학기 RC 특강에서 전체 1학년 학생을 상대로 "Creativity, AI, and Your Future"라는 제목의 강의를 하였다. 강의 영상은 https://m.youtube.com/watch?v=LbfEqaBENP8&feature=youtu.be에서 다시보기 할 수 있다.
- 기계공학부 2021.06.22
-
35
- 시금치로 작동하는 광합성 전지로 전자계산기 구동 (2021. 05. 19)
- 시금치로 작동하는 광합성 전지로 전자계산기 구동 류원형 연세대 기계공학과 교수와 황성주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홍현욱 연세대 기계공학과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이장미 호주 뉴캐슬대 화학공학과 박사후연구원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틸라코이드와 루테늄 산화물 시트로 제작된 식물 광합성 전지를 개발해 소형계산기를 구동했다. 본 연구는 국제학술지 ScienceAdvances (IF:13.116)에 게재되었으며, 성과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5/19일 한국연구재단 및 여러 온라인 기사에 실려 연구 결과가 언론에 홍보되었다. [언론보도] 2021. 05.19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10519037100063?section=search 2021. 05.20 /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519/107017863/1
- 기계공학부 2021.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