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4
- 전흥재 교수, 한국복합재료학회 학회장 취임 (2022.01.01~)
- 전흥재 교수, 한국복합재료학회 학회장 취임 전흥재 교수가 2022년 1월 1일부로 한국복합재료학회 제21대 학회 회장으로 취임하였다. 한국복합재료학회는 국가나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복합재료 관련 학문과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전문성을 가진 우수한 후학들을 양성하기 위해 1988년에 창립된 우리나라의 복합재료 관련 분야 대표 학회이다. 한국복합재료학회 홈페이지: www.kscm.re.kr
- 기계공학부 2022.03.11
-
53
- 심장혈관질환 치료용 고유연성∙다공성 실크피브로인 마이크로니들 랩 개발 (2021.12.10)
- 심장혈관질환 치료용 고유연성∙다공성 실크피브로인 마이크로니들 랩 개발 기계공학부 류원형 교수 연구팀은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심장혈관외과 윤영남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누에고치로부터 추출된 실크피브로인을 이용하여 심장혈관 질환 치료에 특화된 마이크로니들 랩을 개발, 뛰어난 치료 효과 및 안정성을 입증하였다. 해당 연구는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약물전달분야 상위 3.45%의 국제 저명 학술지인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IF = 9.776)' 에 게재되었으며, 2021년 340호의 표지 논문(Front Cover)으로 선정되었다. 해당 논문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68365921005538
- 기계공학부 2022.03.11
-
52
- 탄소나노물질 치수가 신경세포의 기능적 활성과 퇴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21.12.01)
- 탄소나노물질 치수가 신경세포의 기능적 활성과 퇴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계공학과 김종백 교수 연구팀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팀과 공동으로 '미세먼지가 일반인보다 퇴행성 뇌질환 환자에 더 치명적' 이라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2021년 12월 세계적인 생체 재료분야 저널인 'Biomaterials' (Impact Factor: 12.479, 상위 3.38%, Volume 279)에 게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가 일반인보다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 환자에게 더 치명적이며, 미세먼지 속 3차원 탄소입자에 장기간 노출되면 신경 세포가 사멸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해당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16/j.biomaterials.2021.121232
- 기계공학부 2022.03.11
-
51
- 기계공학부 ME Graduate Fellowship 수혜학생 명단
- 안녕하세요. ME Graduate Fellowship 지급자 명단을 아래와 같이 작성하오니, 학부생 여러분들은 참고 부탁드립니다. 입학학기 전형 과정 성명 20212 일반전형 석사 이성한 20212 일반전형 통합 강상원 20221 조기전형 통합 서보경
- 기계공학부 2022.01.05
-
50
- '제 2회 미래국방 기술 및 전략 학술대회-국방 항공우주력의 도약, 하늘을 넘어 우주로’ 개최 (2021.11.30)
- '제 2회 미래국방 기술 및 전략 학술대회-국방 항공우주력의 도약, 하늘을 넘어 우주로’ 개최 연세대학교 항공우주전략연구원(ASTI)가 지난 11월 30일 공군, 국방과학연구소와 공동으로 ‘제2회 미래국방기술 및 전략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연세대 ASTI 조형희 원장의 개회사로 시작하여 공동 주관 기관장인 연세대 서승환 총장, 박인호 공군참모총장, 박종승 국방과학연구소 소장의 환영사로 이어졌고, 축사와 기조강연, 세션별 주제발표 순으로 진행했다. 이번 미래국방 기술 및 전략 학술대회에서는 우리 군의 우주력 발전방향에 대해 다룬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뉴 스페이스’ 시대의 항공우주력 발전에 대해 다루었다. 해당 뉴스 링크: http://www.jamill.kr/news/articleView.html?idxno=272423
- 기계공학부 2021.12.29
-
49
- 탄소나노튜브 기반 고감도 유연 촉각 센서 개발 (2021. 11. 16)
- 탄소나노튜브 기반 고감도 유연 촉각 센서 개발 기계공학과 김종백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고감도 유연 촉각 센서 연구가 2021년 11월 세계적인 나노분야 저널인 ‘Small’ (Impact Factor: 13.281, 상위 6.88%)에 게재되었으며,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2021년 17권 50호 표지논문 (Front cover)으로 선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감도 및 넓은 감지범위를 동시에 만족하기 위한 방안으로 탄소나노튜브를 활용한 계층적 주름구조 기반 유연 촉각 센서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햅틱 글러브 및 다축 힘 측정 센서로 활용 가능함을 보였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02/smll.202105334
- 기계공학부 2021.12.29
-
48
- 실내외 나노입자의 상시 모니터링을 위한 Lab-on-Lab-on-printed circuit board(PCB) 기반 물수집 응축 핵 입자 계수기 개발 (2021. 11. 05)
- 실내외 나노입자의 상시 모니터링을 위한 Lab-on-Lab-on-printed circuit board(PCB) 기반 물수집 응축 핵 입자 계수기 개발 기계공학부 김용준 교수 연구팀은 공기 중 나노입자의 측정을 위해, Lab-on-PCB 기술을 이용하여 물방울 성장에 필요한 요소 기능들을 하나의 칩 상에 집적화 시킴으로써, CPC(condensation particle counter)를 획기적으로 소형화/저가화 하였고, 이를 통해 휴대용 기기는 물론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번에 제작된 Lab-on-PCB 기반 CPC는 10 nm 크기의 입자도 물방울로 성장시킬 수 있었으며, 상용 CPC에 준하는 정확도로 나노입자 정밀 모니터링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우수성을 입증받아 2021년 한국실내환경학회에서 구두 부분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으며, Journal of Aerosol Science(IF: 3.433)에 게재되었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16/j.jaerosci.2021.105911
- 기계공학부 2021.12.29
-
47
- 이온 하이브리드 캐패시터 한계 극복 리뷰 연구 (2021.11.01)
- 이온 하이브리드 캐패시터 한계 극복 리뷰 연구 기계공학부 전성찬 교수 연구팀은 탄소질 음극 물질에 관한 리뷰 논문을 게재하였다. 현재 낮은 비용, 높은 에너지 밀도와 전력 밀도, 그리고 뛰어난 안정성으로 주목 받고 있는 Na, K 이온 하이브리드 캐패시터는 음극으로 쓰이는 물질의 낮은 신뢰성으로 인한 느린 반응 속도 등의 한계가 있다. 본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높은 이온 저장 가능성을 지닌 탄소질 음극 물질의 캐패시터에서의 사용에 관해 리뷰하였고, 본 연구결과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ACS Energy Letters(IF : 23.101)에 게재되었다. 논문 링크: https://pubs.acs.org/doi/full/10.1021/acsenergylett.1c01855
- 기계공학부 2021.12.29
-
46
-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젊은과학자상 수상 (2021.10.22)
-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젊은과학자상 수상 장용훈 교수 연구실 소속 장일광 박사가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에서의 10여편의 논문 게재 및 발표, 우수논문상 수상 실적, 편집위원 활동 등의 기여를 인정받아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젊은과학자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장일광 박사는 접촉점 분포의 군집 특성을 조건부확률로 분석하고 전기접촉저항 모델을 도출하는 연구로 학위를 취득하였다. 또한 접촉 면적과 같은 역학적 결과를 딥러닝을 이용해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그외에 접촉이 포함된 구조해석 기반의 연구 과제를 다양한 기관과 함께 수행하고 있다. 해당 뉴스 기사:http://tribology.kr/publication/ebook/3705/index.html#page=10
- 기계공학부 2021.10.28
-
45
- 조형희 교수 한송엽 공학교육상 수상 (2021.09.30)
- 조형희 교수 한송엽 공학교육상 수상 조형희 교수가 한국공학교육학회 주관 한송엽 공학교육상을 수상하였다. 한송엽 공학교육상은 대한민국 산학협력 증진, 기술정책 기여 및 공학교육 발전에 크게 공헌함을 통해 국가 기술 발전에 기여한 자에 시상하는 상이다. 조형희 교수는 국내 공학분야 다양한 기관 활동을통해 공학교육 제도의 개선과 공학인재 양성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와 저술, 산학협력 활동을 통해 우리나라 공학교육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한국공학교육학회 주관 한송엽 공학교육상을 수상하였다.
- 기계공학부 2021.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