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4
- 팽윤성 하이드로겔 기반의 마이크로니들 도파민 센서 개발 (2022.08.01)
- 팽윤성 하이드로겔 기반의 마이크로니들 도파민 센서 개발 기계공학과 류원형 교수 연구팀이 팽윤성 하이드로겔 기반의 마이크로니들 센서를 개발하고 체내 간질액 내 도파민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바이오 센서로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 (Vol. 7, Issue 3, 2022, Impact Factor: 7.848, JCR top 17.87%)에 게재되었다. 본 연구는 팽윤성 생체재료의 특성을 활용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체내 물질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채외 센서 분야를 개척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해당 논문 링크: doi.org/10.1002/admt.202100874
- 기계공학부 2022.09.15
-
73
- 2022년 한국형 아이코어 (I-Corps) 창업 지원 사업 선정 및 미국 현지 고객 탐색 수행 (2022.07.31)
- 2022년 한국형 아이코어 (I-Corps) 창업 지원 사업 선정 및 미국 현지 고객 탐색 수행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이준상 교수 연구팀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지식재산팀과 창업팀을 구성하여 '2022년도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에 지원 및 최종 선정되었다. 창업 아이템은 '인공지능과 혈류 유동 모델링을 통한 심혈관 병변 자동 예측기기'로, 심장 CT 영상으로부터 심혈관 형상을 자동으로 분할하고 3차원 재구성한 후, 환자의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경계조건을 부여하여 혈류 유동 모델링을 수행한다. 최종적으로는 혈류역학적 진단인자를 활용하여 병변의 위치를 예측하여 임상의의 진단 결정을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비용과 시간, 그리고 합병증 유발 가능성 측면에서 기존 진단방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고령 대상에 모니터링 목적으로 활용한다면 심혈관 질환을 조기 진단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창업팀은 2022년 7월 31일부터 약 3주간의 해외 창업 실전교육을 미국 조지워싱턴 대학교에서 수료하였으며, 동시에 미국 현지 의사를 대상으로 고객 탐색 인터뷰를 수행하여 그 사업성을 인정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같은 기간 교육 내 최우수팀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 기계공학부 2022.09.15
-
72
- 정효일 교수, 연구혁신부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 (2022.07.06)
- 정효일 교수, 연구혁신부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 정효일 교수는 인간 혈액, 타액처럼 다양한 액체 생검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엑소좀 등 나노 크기의 생체물질을 원심분리기 없이 초고속으로 분리할 수 있는 미세유체칩기술과 이를 고감도로 감지할 수 있는 나노바이오센서 기술을 선도한 공로로 ‘나노코리아 2022’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받았다. 해당 성과는 세계적 권위 바이오센서 학술지인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IF: 12.545)에 게재되었다. 해당 기사 링크: https://www.etnews.com/20220706000089 해당 논문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56566321009970
- 기계공학부 2022.09.15
-
71
- 현재상 신임교수 소개
- 현재상 신임교수 소개 현재상 교수는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에서 학사를, 미국 Purdue University에서 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ORBBEC 3D Technology에서 Research Scientist로 근무하였으며, 2022년 9월부로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조교수로 부임하였다. 연구분야는 정밀 측정 및 지능형 센싱으로, Superfast 3D Optical Sensing, Machine Vision, Sensors Fusion을 연구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자율 주행 차량용 센서 개발,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3차원 센서 개발, 교량 및 상하수도 점검 로봇용 3차원 센서 등을 개발하고 있다. 연구실 링크: https://sites.google.com/view/damislab
- 기계공학부 2022.08.31
-
70
- 신동준 신임교수 소개
- 신동준 신임교수 소개 신동준 교수는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에서 학사를, 미국 Stanford University에서 공학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Stanford AI Lab 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2014년 3월부터는 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에서 조교수를 거쳐 부교수로 근무하였으며, 2022년 3월에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부교수로 부임하였다. 연구분야는 인간 중심 AI 로보틱스로서, 사람과 로봇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협업을 위한 Human-Friendly Robot Mechanisms, AI-based Motion Control, Physical Human-Robot Interaction을 연구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재활 및 보조용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 로보틱스 기반 모빌리티, 인간친화형 협업 로봇 등을 개발하고 있다. 연구실 링크: http://hcr.yonsei.ac.kr
- 기계공학부 2022.08.02
-
69
- 대규모 수소 생산을 위한 고전류 밀도에서의 가속화된 산소 발생 하이브리드 촉매 제작 (2022.05.01)
- 대규모 수소 생산을 위한 고전류 밀도에서의 가속화된 산소 발생 하이브리드 촉매 제작 기계공학과 전성찬 교수 연구팀 Sanjib Roy박사는 고전류 밀도에서 알칼리성 물 전기분해를 증폭하는 하이브리드 촉매를 제작하는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팀은 일반적으로 산업에서 이용하는 물 전기분해가 갖고 있는 낮은 산소 발생 속도로 인해 제한되는 공정 발전을 극복하고자 레늄과 질소를 도핑한 니켈-수산화철을 사용하여 높은 전류 밀도에서 안정성과 상업성 기준을 충족하는 고효율 산소 발생을 달성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논문으로 작성되어 국제 우수 저널인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Impact Factor: 16.744, 상위 2.62%, Volume 435)에 게재되었으며 이 연구는 BK21에서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다. 해당 논문 링크: doi.org/10.1016/j.cej.2022.135184
- 기계공학부 2022.08.01
-
68
- 나노구조의 전기화학적 압타센서를 사용하여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제품에서 이동하는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의 초고감도 검출 및 위험 평가 (2022.04.15)
- 나노구조의 전기화학적 압타센서를 사용하여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제품에서 이동하는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의 초고감도 검출 및 위험 평가 기계공학과 정효일 교수 연구팀이 '플라스틱 가소제의 고민감 검출을 위한 전기화학 압타센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2022년 4월 세계적인 바이오 센서 분야 저널인 'Sensors and Actuators B: Chemical' (Impact Factor: 9.221, 상위 6.32%, Volume 357)에 게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플라스틱 가소제를 고감도로 검출하는 전기화학 압타 센서 제작에 성공하였다. 이를 이용해 최근 코로나로 인해 발생한 다량의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용출되는 미량의 가소제를 모니터링 하고 가소제 노출에 따른 위험도 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해당 논문 링크: doi.org/10.1016/j.snb.2022.131381
- 기계공학부 2022.08.01
-
67
- 팽윤성 하이드로겔 기반 체내 생체물질 측정용 마이크로니들 센서 개발 (2022.03.01)
- 팽윤성 하이드로겔 기반 체내 생체물질 측정용 마이크로니들 센서 개발 기계공학부 류원형 교수 연구팀은 팽윤성 하이드로겔 기반의 마이크로니들 센서를 개발하고 체내 간질액 내 도파민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바이오 센서로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팽윤성 생체재료의 특성을 활용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체내 물질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채외 센서 분야를 개척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 (Vol. 7, Issue 3, 2022, Impact factor: 8.756)에 게재되었다. 해당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02/admt.202100874
- 기계공학부 2022.08.01
-
66
- 생체모사 하이드로젤 기술을 이용한 그린 수소 생산용 광전극 내구성 증대 (2022.06.09)
- 생체모사 하이드로젤 기술을 이용한 그린 수소 생산용 광전극 내구성 증대 기계공학과 이형석 교수 연구팀은 신소재공학과 문주호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물과 빛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광전극’의 구조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광전극의 구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하이드로젤 보호층을 개발하였다. 광전극들은 구동 과정에서 표면 촉매 탈착 및 표면 용해가 발생하여 장시간 구동이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팀은 바다 속 가혹한 환경에서 광합성을 하는 ‘해양생물’의 표피층에 있는 ‘하이드로젤’이 세포 손상을 억제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물 속에서 구동되는 광전극의 표면을 하이드로젤로 코팅하는 아이디어를 고안했다. 특히, 광전극에서 발생하는 수소 버블과 보호층 사이의 물리적 상호작용을 이론/수치해석/실험으로 분석함으로써, 수소 버블에 의한 보호층 손상이 최소화되는 조건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 최상위 국제학술지 ‘Nature Energy (Impact Factor 67.439, 분야 상위 0.420%)’에 6월 9일 온라인 게재되었다. 해당 논문 링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60-022-01042-5
- 기계공학부 2022.07.15
-
65
- 자가 부유 구조를 활용하는 마찰전기 나노풍력발전기 개발 (2022.06.01)
- 자가 부유 구조를 활용하는 마찰전기 나노풍력발전기 개발 기계공학과 김종백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마찰전기 나노풍력발전기 연구가 2022년 6월 1일 세계적인 나노물질 기반 에너지 분야 저널인 'Nano Energy' (Impact Factor: 19.069)에 게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낮은 풍속에서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는 방안으로, 두 대전체 사이의 쿨롱 인력에 의하여 자가 부유된 원통형 쉘 구조를 활용하는 나노발전기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소형 전자 소자의 에너지원 또는 자가구동 바람 모니터링 센서로 활용 가능함을 보였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16/j.nanoen.2022.107062
- 기계공학부 2022.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