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4
- 이준상 교수, 서울에스엔유 비뇨의학과의원과 기부금 협약식 (2022.09.29)
- 이준상 교수, 서울에스엔유 비뇨의학과의원과 기부금 협약식 연세대학교 이준상 교수 연구팀은 서울에스앤유 비뇨의학과의원과 9월 29일(목) 연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기부금 협약식을 가졌다. 기부금은 연구팀의 창업 예정 기업인 The M.E.N.D BioSimulator가 개발중인 "기계학습 기반 비침습적 요역동학 검사, N-UDS"에 사용될 예정이다. 해당 기술은 인공지능을 통해 방광과 요도의 기능 관련 진단인자를 자동으로 도출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비침습적 방식을 통해 효율적으로 환자에 맞는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활용 편의성이 뛰어나 1차 의료기관으로까지 그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비뇨의학과와 통증치료 전담 병원인 서울에스앤유 비뇨의학과의원 윤민영 원장은 “3차 의료기관인 서울대병원에서 1차의료기관으로 이동해서 환자를 진단/치료하면서 최첨단 진단 장비에 대한 중요성을 많이 느껴 이준상 교수 연구팀과 협업을 진행해 왔고 더 좋은 연구개발 환경을 만들어야 우리나라 의료진단장비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기부를 결심하게 됐다.”고 말했다. 기부금은 기부자의 의지대로 진단장비 개발에 사용될 것이며 이준상 교수는 “1차 의료기관에서도 양질의 진단장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장비개발에 기부금을 사용하겠다”고 말했다.
- 기계공학부 2022.11.16
-
83
- LIG넥스원 협의체-연세대학교 기계융복합 공동연구소 주관 "LIG넥스원 Public Day" 개최 (2022.09.27)
- LIG넥스원 협의체-연세대학교 기계융복합 공동연구소 주관 "LIG넥스원 Public Day" 개최 기계공학과 박노철 교수, 김우철 교수, 윤준영 교수는 LIG넥스원과 방위산업 기계융복합 분야의 연구개발(R&D) 주요 성과를 소개하는 '퍼블릭 데이(Public Day)'를 열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탐색 및 추적 레이다 구조 및 구동부 구조건전성 분석(박노철 교수) ▲레이다 방열 및 냉각 시스템 설계/분석(김우철 교수) ▲Fast Steering Mirror System 구동기 및 구동 제어기(윤준영 교수)등 다양한 산학연계 연구활동에 대한 소개와 진동 저감 분야 특별 강연 등을 진행하며 밀도 높은 협력활동을 LIG넥스원 협의체를 통해 이어가고 있다.
- 기계공학부 2022.11.16
-
82
- 사람 특이적 감염성 바이러스 질병 연구를 위한 3차원 공학적 조직 모델 (2022.09.22)
- 사람 특이적 감염성 바이러스 질병 연구를 위한 3차원 공학적 조직 모델 기계공학과 김종백 교수 연구팀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팀과 공동으로 사람 특이적 감염성 바이러스 질병 연구를 위한 3차원 공학적 조직 모델에 관한 리뷰 논문을 2022년 09월 22일 'Bioactive materials' (Impact Factor: 16.874, 상위 2%) 게재하였다.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인체의 다양한 장기에서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감염성 바이러스를 분류하였다. 또한 체외에서 체내와 유사한 감염성 바이러스 질병의 발병기전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3차원 공학적 조직 모델에 대해서 리뷰하였다. 해당 논문 링크: doi.org/10.1016/j.bioactmat.2022.09.010
- 기계공학부 2022.11.16
-
81
- 제4회 탄소중립 미래포럼 초청강연, '탄소중립을 대비한 발전기술' (2022.09.22)
- 제4회 탄소중립 미래포럼 초청강연, '탄소중립을 대비한 발전기술' 기계공학과 조형희 교수가 한국남동발전 개최 제4회 탄소중립 미래포럼에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초안 발표에 따른 대응방안에 대하여 가스/수소터빈 분야 전문가로서 ‘탄소중립을 대비한 발전기술’에 대하여 초청 강연을 하였다.
- 기계공학부 2022.11.16
-
80
- 단일 픽셀 파면샘플링에 기반한 간섭잡음이 제거된 메소스코픽(mm-스케일) 3차원 정량 굴절률영상법 (2022.09.19)
- 단일 픽셀 파면샘플링에 기반한 간섭잡음이 제거된 메소스코픽(mm-스케일) 3차원 정량 굴절률영상법 기계공학과 주철민 교수 연구팀은 single-pixel detector를 이용해 mm 스케일의 3차원 굴절률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Optical diffraction tomography(ODT) 기술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ODT는 광간섭계를 이용하여 염색과정 없이 생물 내부 영상을 촬영할 수 있지만 광간섭계 특성 상 수십 마이크로미터를 넘어가는 물체를 영상하기 어려웠으며 간섭계 잡음(스페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본 연구팀은 single-pixel detector를 이용한 위상차영상법을 적용하여 mm-scale 에서 간섭계 잡음이 없는 3차원 굴절률 영상을 획득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 연구 결과는 2022년 9월 19일 세계적인 광학 분야 저널인 'Optica' (광학분야 상위 6.93%, Impact Factor: 10.644)에 게재되었다. 해당 논문 링크: opg.optica.org/optica/fulltext.cfm?uri=optica-9-9-1073&id=503284
- 기계공학부 2022.11.16
-
79
- 분리형 마이크로니들의 응용 및 활용을 위한 기존 연구 분석 (2022.09.07)
- 분리형 마이크로니들의 응용 및 활용을 위한 기존 연구 분석 기계공학과 류원형 교수 연구팀이 분리형 마이크로니들의 형태에 따른 새로운 분류법을 제시함으로써 분리형 마이크로니들의 연구 동향 및 나아가야할 방향에 관한 리뷰 논문을 작성하였다. 본 리뷰 논문은 'Expert Opinion on Drug Delivery' (Vol. 19, Issue 9, 2022)에 게재되었다. 해당 논문 링크: doi.org/10.1080/17425247.2022.2121388
- 기계공학부 2022.11.16
-
78
- 고효율 알칼리 연료전지를 위한 고활성 물 전기분해 촉매 개발 (2022.09.02)
- 고효율 알칼리 연료전지를 위한 고활성 물 전기분해 촉매 개발 기계공학과 전성찬 교수 연구팀이 효율적인 물 전기분해를 위한 고활성 고효율의 견고한 촉매를 개발하였다. 상업용 고효율 알칼리 연료전지로의 응용을 위해서는 Pt/RuO2와 유사한 매우 활성적인 전기촉매가 필요하나, 여전히 합성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팀은 N도핑이 된 귀금속 이인화 이리듐(N-IrP2 @CC)을 이용하여 기존의 촉매보다 높은 물 분해 전류 밀도를 달성하여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우수 저널인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Impact Factor: 24.319, 상위 2% 이내, Volume 435)에 이번 12월 게재가 확정되었다. 해당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16/j.apcatb.2022.121906
- 기계공학부 2022.11.16
-
77
- 탄소 중립을 향한 발걸음, 나노 니켈 입자로 이루다 (2022.08.30)
- 탄소 중립을 향한 발걸음, 나노 니켈 입자로 이루다 기계공학과 홍종섭 교수 연구팀 배용균 박사는 저온에서도 높은 이산화탄소/메탄 동시 전환 활성을 보유한 고안정성의 나노 촉매 형성 기술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팀은 일반적으로 높은 분해 에너지 장벽을 가져 고에너지 공정이 필요한 이산화탄소의 분해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저가의 니켈과 알루미나를 활용해 새로운 공정 기법으로 최적 촉매 복합체를 형성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온실 가스인 이산화탄소와 메탄을 적극 활용하여 청정 수소와 합성 가스를 생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지며, 해당 결과는 논문으로 작성되어 국제 우수 저널인 'Chemical Engineering Journal'(Impact Factor: 16.744, 상위 2.62%, Volume 446)에 게재되었다. 해당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16/j.cej.2022.136978
- 기계공학부 2022.09.15
-
76
- 가스선택성을 갖는 초고해상도, 초저전력 MEMS기반 가스센싱 시스템 개발 (2022.08.25)
- 가스선택성을 갖는 초고해상도, 초저전력 MEMS기반 가스센싱 시스템 개발 기계공학과 김종백 교수 연구팀과 전기전자공학과 채영철 교수 연구팀이 공동 개발한 가스센싱 시스템 연구가 2022년 8월 25일 세계적인 초고밀도 집적 회로(VLSI) 분야 저널인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Impact Factor: 6.12)에 게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MEMS 기반의 저항식 가스센서와 Resistor to Digital Converter를 집적하여 초고해상도를 갖는 초저전력 가스센싱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른 온도로 구동했을 때 상이한 반응성 차이를 이용하여 가스센서의 선택성을 얻었다. 해당 논문 링크: 10.1109/JSSC.2022.3197549
- 기계공학부 2022.09.15
-
75
- 이중 스케일 다공성 구조의 높은 민감도와 넓은 감지범위를 보이는 촉각 센서 (2022.08.15)
- 이중 스케일 다공성 구조의 높은 민감도와 넓은 감지범위를 보이는 촉각 센서 기계공학과 김종백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고감도 유연 촉각 센서 연구가 2022년 8월 15일 세계적인 나노분야 저널인 ‘Small’ (Impact Factor: 15.15, 상위 6.83%)에 게재되었으며,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표지논문 (Front cover)으로 선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감도와 넓은 감지범위를 동시에 만족하기 위한 방안으로 두 크기의 기공이 형성된 스펀지 구조와 탄소나노튜브를 활용한 유연 촉각 센서를 제시하였다. 또한, 호흡과 같은 작은 압력부터 스쿼트까지 큰 압력까지 측정하여 사람 모션 측정 센서로 활용 가능함을 보였다. 해당 논문 링크: doi.org/10.1002/smll.202203193
- 기계공학부 2022.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