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4
- 인공지능을 활용한 3D 프린팅 변수 최적화 (2022.12.07)
- 인공지능을 활용한 3D 프린팅 변수 최적화 기계공학과 류원형 교수 연구팀 (제1저자 김종현 석사과정 학생)이 합성곱 신경망과 베이지안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는 새로운 인공지능 기반 3D 프린팅 공정변수 최적화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 바이오 연료 전지의 성능 개선 및 구조 최적화에 기여한 연구로 'Virtual and Physical Prototyping' (JCR top 4.9%)에 발표 되었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80/17452759.2022.2150231
- 기계공학부 2023.01.20
-
93
- 신동준 교수 한국로봇학회 특별상 수상 (2022.12.02)
- 신동준 교수 한국로봇학회 특별상 수상 기계공학부 신동준 교수는 한국로봇학회에서 2022년도 특별상을 수상하였다. 하지마비 장애인용 FES 자전거 개발 및 착용형 로봇 기술 개발을 주도하여 Assistive and Rehabilitation Robot 분야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특별상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 기계공학부 2023.01.20
-
92
- 위치 선택적 현수형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연구 (2022.11.10)
- 위치 선택적 현수형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연구 기계공학과 김종백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위치 선택적 현수형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연구가 2022년 11월 세계적인 마이크로 나노 기전 시스템 분야 저널인 'Microsystems & Nanoengineering' (Impact Factor: 8.006, 상위 6.25%)에 게재 승인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나노와이어를 제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마이크로 구조물에 전기방사된 폴리머 섬유들을 열처리를 통해 하나로 뭉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이크로 구조물의 설계를 통해 형성되는 나노와이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었고 하나로 뭉친 폴리머 와이어를 템플릿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물질의 나노와이어로 교체할수 있었다.
- 기계공학부 2023.01.20
-
91
- 마이크로니들과 맞물림 전극 기반의 레보도파 측정용 전기화학 센서 개발 (2022.11.10)
- 마이크로니들과 맞물림 전극 기반의 레보도파 측정용 전기화학 센서 개발 기계공학과 류원형 교수 연구팀 (제1저자 박승현 연구교수)은 오스트리아 응용대학의 Stefan Partel 박사 연구팀과의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하여 팽윤성 고분자 마이크로니들 기반의 체내 생체물질 추출과 맞물림 전극 기반의 전기화학 센서가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바이오센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IF= 12.545, JCR top 2.87%)에 2022년 11월 게재 승인되었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16/j.bios.2022.114912
- 기계공학부 2023.01.20
-
90
- 2022년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우수성과 최우수상(산업통상자원부 장관표창) 수상 (2022.11.02)
- 2022년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우수성과 최우수상(산업통상자원부 장관표창) 수상 조형희 교수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주관하는 ‘2022 에너지 혁신 인재 포럼’에서 연구실 운영 성과를 인정받아 최우수연구실(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로 선정되었다. 가스터빈 고온부품 개발을 위해서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과 핵심기술 개발을 목적으로한 ‘에너지 인력양성사업(GET-Future 연구실)’에 선정되어 지난 10년 동안 국내 기업 및 국책연구원에서 필요한 전문인력(박사: 21명, 석사: 23명, 포닥: 25명)을 양성하며 국가와 사회발전에 기여하였으며, 국내외 전문가 초청강연, 국내외 기관 교육 및 연수, 인턴 파견 등의 교육과 국제 학술대회 발표 기회 지원을 통해 전문 R&D 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지원을 수행하고 다수의 SCI 급 논문을 출판하는 등 에너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관련 링크: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534193
- 기계공학부 2023.01.20
-
89
- '차세대 시각/적외선/레이더 동시 회피 복합 스텔스 기술' 2022 대한민국 올해의 10대 기계기술 선정 (2022.11.02)
- '차세대 시각/적외선/레이더 동시 회피 복합 스텔스 기술' 2022 대한민국 올해의 10대 기계기술 선정 조형희 교수 연구팀의 차세대 시각·적외선·레이더 동시 회피 복합 스텔스기술 개발 연구가 ‘2022 대한민국 올해의 10대 기계 기술’ 에 선정되었다. 차세대 항공기를 위한 적외선·레이더·시각 동시 회피 복합 스텔스기술은 시각 위장을 유지하면서도 레이더파를 흡수해 레이더를 기만하고, 동시에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적외선 신호를 저감해 적외선·레이더·시각 신호를 동시에 탐지하는 차세대 탐지기의 추적을 회피할 수 있는 기술로 조형희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와 더불어 ‘국방피탐지감소기술 특화연구센터(2009~2017)’의 센터장과 이후 후속 연구로 진행된 ‘항공피탐지감소기술 특화연구실(2019~2025)’의 IR 과제 책임자로서 스텔스기술의 불모지였던 대한민국에서 스텔스 메타물질의 원리를 규명하고 제작하여 실제 상황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실증하는 데 힘써 오고 있다. 관련 링크: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534120
- 기계공학부 2023.01.20
-
88
- 전방향 바람 모니터링이 가능한 플랩 배열 기반 나노풍력발전기 개발 (2022.11.01)
- 전방향 바람 모니터링이 가능한 플랩 배열 기반 나노풍력발전기 개발 기계공학과 김종백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마찰전기 나노풍력발전기 연구가 2022년 11월 1일 세계적인 나노물질 기반 에너지 분야 저널인 'Nano Energy' (Impact Factor: 19.069)에 게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낮은 속도의 전방향 바람 에너지를 수확하는 방안으로, 소용돌이 발생체(bluff body)로서 와류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플랩 배열 기반의 나노발전기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무선 환경센서의 에너지원과 자가구동 바람 모니터링 센서로 활용 가능함을 보였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16/j.nanoen.2022.107717
- 기계공학부 2022.11.16
-
87
- 2022년 공학교육혁신포럼 「대학과 기업이 함께 키우는 미래 공학 인재」 기획 (2022.10.19)
- 2022년 공학교육혁신포럼 「대학과 기업이 함께 키우는 미래 공학 인재」 기획 기계공학과 조형희 교수가 한국공학한림원 인재양성위원회 위원장으로서 2022년 공학교육혁신포럼 「대학과 기업이 함께 키우는 미래 공학 인재」을 기획하였다. 이날 회의에서는 산업체가 요구하는 공학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방법과 효과적인 산학협력 방안, 기업의 산학협력 현황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고, 공학교육 전문가들의 패널 토론이 있었다.
- 기계공학부 2022.11.16
-
86
- 제24회 항공우주력 국제학술회의 '우주안보와 국방우주력' 개최 (2022.10.19)
- 제24회 항공우주력 국제학술회의 '우주안보와 국방우주력' 개최 기계공학과 조형희 교수는 연세대학교 항공우주전략연구원장으로서 항공우주전략연구원이 주최하고 공군이 후원하는 제24회 항공우주력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번 학술회의는 강대국들은 물론 신흥우주국과 민간기업까지 경쟁하는 우주경쟁 시대를 맞아 ‘우주안보와 국방우주력’을 주제로 하여 진행되었으며, 우주경쟁 시대의 대한민국 우주안보와 미래 국방우주력 발전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한 토론이 이어졌다.
- 기계공학부 2022.11.16
-
85
-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한 고온 수전해 시스템의 열역학적 특징 및 기술 동향 분석 (2022.10.11)
-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한 고온 수전해 시스템의 열역학적 특징 및 기술 동향 분석 기계공학과 홍종섭 교수 연구팀(민규빈 석사졸, 최세영 석사 4)은 현재까지 상용화된 고체산화물 수전해 셀 (SOEC) 시스템들의 열역학적 메커니즘과 열적 결합에 대해 포괄적으로 분석한 리뷰 논문을 발표하였다. SOEC 시스템은 탄소중립으로 나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 중 하나인 그린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시스템 운전 조건에 따라 고온의 열원을 필요로 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SOEC 시스템 연구에서는 이러한 외부 열원과의 통합 설계/분석보다는 전기적인 특성(친환경 발전원과의 결합)에만 집중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SOEC 시스템의 열역학적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열적으로 통합이 가능한 외부 열원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SOEC 시스템의 주요 운전 변수와 성능 평가 지표를 표준화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기준에 따라 현재 상용화된 SOEC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SOEC 시스템의 전기적인 특징뿐만 아니라 열적인 특징 역시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팀은 향후 지속적으로 SOEC 시스템의 열적 결합 구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구 해당 리뷰 논문은 국제 우수 저널인 'Applied Energy'(Impact Factor: 11.446, JCR 상위 6.3%)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 논문 링크: doi.org/10.1016/j.apenergy.2022.120145
- 기계공학부 2022.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