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4
- 액체-기체 상변화 마이크로 구동기 기반 유연 촉각 디스플레이 개발 (2023.01.19)
- 액체-기체 상변화 마이크로 구동기 기반 유연 촉각 디스플레이 개발 기계공학과 김종백 교수 연구팀은 피부에 부착하여 정교한 촉각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유연한 촉각 디스플레이를 개발하였다. 정교한 촉감각 전달을 위해 본 연구팀은 상변화 시에 큰 출력을 낼 수 있는 상변화구동기를 활용하였으며, 기존 연구대비 높은 공간해상도를 갖는 디바이스를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사실적인 촉감각 전달을 가능케했다. 해당 연구는 전기전자공학자협회 (IEEE)가 주최하며 MEMS 분야 최고 권위 학술대회인 2023 36th IEEE MEMS Conference에 포스터 발표되었다. 그리고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전체 635개의 Paper 중 10개의 포스터발표자에게만 수여되는 Outstanding Student Poster Presentation Award Finalist에 선정되었다. 관련 링크: https://ieeexplore.ieee.org/abstract/document/10052525
- 기계공학부 2023.03.13
-
103
- 틸라코이드와 PEDOT:PSS를 기반의 바이오-광전기화학 복합 전극셀 3D 프린팅 공정 개발 (2023.01.05)
- 틸라코이드와 PEDOT:PSS를 기반의 바이오-광전기화학 복합 전극셀 3D 프린팅 공정 개발 류원형 교수 연구팀 (공동 1저자 김용재 박사, 김선일 통합과정 학생)은 시금치에서 추출한 틸라코이드 막과 전도성고분자(PEDOT:PSS)를 혼합한 잉크로 3D 프린팅한 3차원 전극을 제작하여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바꿀 수 있는 새로운 친환경에너지 기술을 개발하였다. (Y. J. Kim, S. I. Kim et al, ACS Applied Energy Materials, (2023)) 해당 연구는 틸라코이드의 3D 프린팅 가능성을 제시하며 다양한 설계 디자인에 따라 구조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더 높은 효율의 전극을 제작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관련 논문 링크: doi.org/10.1021/acsaem.2c03033
- 기계공학부 2023.03.13
-
102
- 이남규 신임교수 소개
- 이남규 신임교수 소개 이남규 교수는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에서 학사 및 박사를 취득하였으며, 독일 율리히 연구소 (Forschungszentrum Jülich) 에서 박사후 연구원 및 훔볼트 펠로우로 근무하였다. 이후 2023년 3월부로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조교수로 임명되었다. 연구 분야는 열전달 및 열설계 기법을 기반으로 국방, 에너지, 재료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상세 연구 분야로는 비등 열전달, 초음속 열전달 측정을 기반한 차세대 열전달 기법 개발부터 핵융합로 고온 부품, 차세대 국방 모빌리티 열설계 연구까지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또한, 차세대 에너지 응용 분야 적용을 위한 복사 에너지 조절 표면 성능 향상 및 실용 연구를 수행 중이며, 기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영동 현상 규명을 위한 열영동 계수 측정 기기 열설계 및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기계공학부 2023.02.27
-
101
- 김해진 신임교수 소개
- 김해진 신임교수 소개 김해진 교수는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에서 학사 및 박사를 취득하고, 이후 University of Houston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2018년 3월부터는 경상국립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에서 조교수 및 부교수로 근무하였으며, 2023년 3월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부교수로 부임하였다. 김해진 교수의 Laboratory for Intelligent Device & Manufacturing (LiDM, 지능 소자 공정 실험실)에서는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재료공학, 바이오의학이 융합된 학문을 기반으로 재료의 구조 설계에 따른 기계, 전기적 특성 도출에 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기계적으로 유연하고 내구성과 신뢰성이 높은 고수명 고효율 시스템소자 및 센서 제작을 목표로 인간 삶의 질을 향상, 건강 증진 및 생활 안정을 도모하고자 하는 연구 목표와 비전을 가지고 연구에 임하고 있다. 연구실 링크: https://yslidm.com
- 기계공학부 2023.02.27
-
100
- 공기 필터의 항바이러스 성능을 위한 나노벌지의 기상 제조 (2023.03.05)
- 공기 필터의 항바이러스 성능을 위한 나노벌지의 기상 제조 황정호 교수 연구팀은 항바이러스를 위한 나노입자 코팅에 관한 연구를 통해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디스펜서를 개발하여 SiO2 나노비드 (약 130nm) 위에 연속적으로 초미세 Fe-Zn, Fe-Ag 또는 Fe-Cu 입자 (<5nm)를 코팅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고, 해당 연구가 유명 해외학술지(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I.F. 12.50))에 게재되었다. 해당 연구는 사람들이 하루의 대부분을 실내에서 보내기 때문에 환기 및 필터 시스템을 이용한 실내 공기 부유 전염성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이미 사용한 공기 필터의 항바이러스 기능을 재생하고 안전하게 폐기하는 플랫폼을 선보이며 코팅시킨 나노벌지가는 Zn, Ag 및 Cu 입자에 필적하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면서 훨씬 더 작은 금속 비율로 인해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모델 모두에서 생체 안전성을 유지하는 성과를 나타내었다. *본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혁신사업 ( 20007027 , 대기미세먼지 상생협력 공기정화자동차)의 지원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KEITI )의 지원으로 환경부( MOE )( ARQ202201527001 )의 환경성 질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핵심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관련 논문 링크: doi.org/10.1016/j.jhazmat.2022.130458
- 기계공학부 2023.02.10
-
99
- 기계적 탄력성을 가진 나노튜브 다발 기반 마이크로 기전시스템(MEMS)의 충격 흡수 장치 (2023.1.15)
- 기계적 탄력성을 가진 나노튜브 다발 기반 마이크로 기전시스템(MEMS)의 충격 흡수 장치 조은환 박사 (왼쪽) 및 김종백 교수 (가운데) 연구팀은 세라믹으로 강화시킨 탄소나노튜브 기반 충격 흡수 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직 정렬된 나노튜브 다발은 마이크로 기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에 선택적으로 통합가능하며, 이를 통해 충격에 취약할 수 있는 기계 구조를 효과적으로 보호 할 수 있게 되었다. 해당 연구는 전기전자공학자협회 (IEEE)가 주최하며 MEMS 분야 최고 권위 학술대회인 2023 36th IEEE MEMS Conference에 구두 발표되었다. 그리고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전체 635개의 Paper 중 20개의 구두발표자에게만 수여되는 Outstanding Student Oral Presentation Award Finalist에 선정되었다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이호준 (오른쪽), 조은환 박사 공동 1저자). 해당 연구는 미국 Harvard Medical School과의 공동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사물인터넷, 모바일기기 및 미래자동차의 핵심 부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Accelerometer, Gyroscope, Micro mirror 등 여러 MEMS 소자에 활용되어, 초소형 소자의 충격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중견연구 지원사업(연구책임자: 김종백)'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 기계공학부 2023.02.10
-
98
- 고효율 알칼리 연료전지를 위한 고활성 물 전기분해 촉매 개발 (2022.12.15)
- 고효율 알칼리 연료전지를 위한 고활성 물 전기분해 촉매 개발 기계공학과 전성찬 교수 연구팀이 효율적인 물 전기분해를 위한 고활성 고효율의 견고한 촉매를 개발하였다. 상업용 고효율 알칼리 연료전지로의 응용을 위해서는 Pt/RuO2와 유사한 매우 활성적인 전기촉매가 필요하나, 여전히 합성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팀은 N도핑이 된 귀금속 이인화 이리듐(N-IrP2 @CC)을 이용하여 기존의 촉매보다 높은 물 분해 전류 밀도를 달성하여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우수 저널인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Impact Factor: 24.319, 상위 2% 이내, Volume 435)에 이번 12월 게재되었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16/j.apcatb.2022.121906
- 기계공학부 2023.02.10
-
97
- 실험실 창업기업, The M.E.N.D. BioSimlator ‘2022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서 성과물 전시 (2022.12.15)
- 실험실 창업기업, The M.E.N.D. BioSimlator ‘2022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서 성과물 전시 기계공학과 이준상 교수 실험실 창업기업 The M.E.N.D. BioSimulator는 지난 12월 15일부터 1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2022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에 참가해 창업기업의 바이오/헬스케어 핵심기술을 소개하였다. 연구팀이 소개한 기술은 크게 세 가지로, ‘인공지능 기반 심혈관 질환 위험도 자동 예측 진단기기’, ‘안면 비대칭성 분석 시스템’, 그리고 ‘기계학습 기반 비침습적 요역동학 검사’가 해당된다. 아울러 증강현실을 통한 비접촉식 의료 진단 플랫폼 컨텐츠도 함께 제공해 관람객에게 앞으로의 의료 진단 기술 발전 방향을 직접 체험하게 하였다. 연구팀이 소개한 기술은 지난 11월 진행되었던 서울국제발명전시회에서 기술의 창의성과 혁신성을 인정받아 서울특별시장상 및 금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번 성과전시를 통해서 의료 진단 편의성 증진 및 정밀의료 실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관련 기사 링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29829#home
- 기계공학부 2023.01.20
-
96
- 홍종섭 교수 연구실(Multiphysics Energy System Lab.) 과기정통부가 선정한 2022년 건강한 연구실에 뽑혀 (2022.12.11)
- 홍종섭 교수 연구실(Multiphysics Energy System Lab.) 과기정통부가 선정한 2022년 건강한 연구실에 뽑혀 기계공학과 홍종섭 교수 연구실(Multiphysics Energy System Lab.)이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로 선정되었다. '건강한 연구실'이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건강한 연구실 문화 정착 및 확산을 지원하기 위하여 연구실 문화, 연구 관리, 연구 성과가 모두 우수한 연구실을 선정해 지원하는 제도로, 선정된 연구실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현판 및 포상금이 수여된다. 금년도에 건강한 연구실 선정에는 55개 연구실이 지원하였으며, 그 중 10개 연구실만이 '건강한 연구실'로 선정되었다. 홍종섭 교수 연구실은 '상호 존중의 문화와 갈등 관리 중시', '투명한 연구관리 및 연구내용에 대한 인터넷기반지원공유(클라우드) 공유', 연료전지 스택 및 배터리 분석 관련 국내 유일 연구팀으로 기술이전 성과 2건 보유, 유관분야 다수 취업' 등 건강한 연구실로서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2022년 건강한 연구실로 선정되었다. 관련 기사 링크: https://biz.chosun.com/science-chosun/science/2022/12/11/B5DQATMW2REEHFQ6XVWMAH66KI/
- 기계공학부 2023.01.20
-
95
- 연세대 기계공학부, 2022 연세 창의전시회 & CEO Forum 개최 (2022.12.07)
- 연세대 기계공학부, 2022 연세 창의전시회 & CEO Forum 개최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와 연세대 BK21 사회지향 기계기술 글로벌 리더 양성 교육연구단은 12월 7일 연세대 제4공학관 로비에서 ‘2022 연세 창의전시회 & CEO Forum’을 개최했다. 창의전시회에서는 2022학년도 2학기 ‘창의제품설계’ 수업을 통해 연세대 기계공학부 73명의 학부생들이 제작한 15개의 창의 제품을 선보였다. 한편, 같은 날 오후 3시에 열린 ‘2022 연세기계 CEO Forum’ 총회에서는 연세대 기계공학부 동문 23명과 연세대 공과대학 박영필 명예특임교수, 연세대 기계공학부 김종백 학부장, 연세대 박노철 교수 등이 참석해 CEO 포럼과 학부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관련 기사 링크: https://magazine.hankyung.com/job-joy/article/202212196621d
- 기계공학부 2023.01.20